특징

  • 두터운 중앙 블록 형성
  • 2명의 공격수와 1~2명의 미드필더로 공격의 유연성
  • 점유율 확보
  • 미드필더와 공격진의 간격 유지 중요
  • 볼 점유를 높이고 유동적인 플레이를 위해서는 높은 수준의 풀백과 창의적인 미드필더, 완벽한 스트라이커의 조합이 필요

강점

  • 5백을 활용한 탄탄한 수비라인
  • 3명의 센터백과 미드라인을 통해 중앙 지역에서 강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.
  • 윙백이 폭을 넓히고 중앙에 밀집한 선수들을 통해 높은 볼 점유율을 가져갈 수 있다.
  • 윙백을 활용하여 공격적인 포메이션으로 활용 가능
  • 역습 플레이에 최적화

단점

  • 미드에서 적절한 서포팅이 없다면 공격 작업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.
  • 넓은 지역에서 윙백의 업무가 가중된다.
  • 공 없는 시간이 많을 수 있으므로 정신적, 신체적 강인함이 필요하다.
  • 중앙 지역의 혼잡함으로 인해 서로간의 동선이 겹칠 수 있다.

공격

  • 중앙에서 템포를 조절하고 볼 배급을 원할하게 해줄 수 있는 미드필더를 배치한다.
  • 딥라잉 플레이메이커를 통해 더 낮은 지역에서 볼 점유를 높일 수 있다.
  • 플레이 메이커의 위치에 따라 나머지 2명의 미드필더의 조합은 달라질 수 있다.
  • 미드필더는 적극적인 박스 침투를 통해 공격 지원 작업을 병행해야 한다.
  • 풀백은 수비적 견고함을 가져다 주지만 측면에서 공격 작업이 어려워 진다.
  • 윙백은 중앙 지역이 막혔을 경우, 폭을 제공해주고 크로스 플레이를 활용할 수 있게 한다.

수비

  • 3명의 센터백의 안정감을 통해 미드필더들은 좀 더 적극적인 수비를 할 수 있다.
  • 세컨드 볼에 대한 집중력을 가져가야 한다.
  • 두 명의 스트라이커를 통해 상대의 후방 라인에 부담을 주도록 한다.

포지션별 역할

 

골키퍼

  • 상대의 크로스에 대한 적극적인 방어
  • 점유율 플레이를 한다면 스위퍼 키퍼가 적절하다.

센터백

  • 좌우 스토퍼와 중앙 스위퍼 활용 가능
  • 미드에게 볼 배급을 해줄 수 있는 패스 능력
  • 헤더와 낙하지점 포착, 집중력 필요

윙백

  • 클래식 윙어와 같은 플레이를 해줄 수 있어야 한다. - 일대일 돌파, 크로스
  • 공수에 있어서 헌신적인 플레이
  • 풀백을 활용하여 수비 안정감을 더해줄 수 있다.

미드필더

  • 한 명의 홀딩, 두 명의 박스투박스가 일반적인 형태
  • 수비형 미드필더는 센터백을 보호하고 짧은 패스를 통해 미드진에 패스 배급
  • 딥라잉 플레이 메이커는 팀에 전술적 역량을 한 단계 높여줄 수 있다.

스트라이커

  • 서로 보완적인 역할
  • 파트너쉽
  • 찬스에서의 마무리 능력

공략법

  • 측면에서 과부화
  • 낮은 템포로 미드필더에 부담을 높인다.
  • 상대 빌드업 작업시 중앙 지역에 숫자를 많이 둬서 공격 작업을 방해한다.

 

'전술 > 포메이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4-1-4-1 포메이션  (1) 2024.01.10
3-4-2-1 포메이션  (1) 2024.01.08
3-4-3 포메이션  (1) 2024.01.06
4-2-3-1 포메이션  (1) 2024.01.05
4-3-3 포메이션  (2) 2024.01.04

+ Recent posts